은행별 환전 보관 서비스(환율 우대 비교해보기)

 

최근 일본 여행도 다시 활발해지고 엔화가 싸기 때문에 일본 여행 계획을 세우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나도 구체적으로 여행 갈 계획을 세운 건 아니지만 일본에서 살고 있는 친구도 볼 겸 가볼까 싶은 생각이 들어서 엔화 환전을 알아보았다. 

 

은행이나 핀테크 업체 등에서 꽤 괜찮은 혜택으로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기때문에 마음에 드는 곳을 골라서 환전하면 되지만 한 푼이라도 아끼면 좋을 것 같아서 몇 군데 서비스를 비교해보았다. 

 

일단 실물 화폐로 환전할 목적이므로 전신환으로 환전되는 증권사의 환전 서비스는 제외했고, 환전 후 바로 찾아야하는 것 말고 미리 환전해두고 필요할 때 환전해두고 나중에 찾을 수 있는 서비스 위주로 알아보았다. 

 

 

(USD기준)

  우리은행 신한은행 KB국민
보관한도 1만불 1만불 1만불
1일 최대 환전한도 5천불
(USD는 영업시간내 1만불)
2천불 5천불
(USD는 영업시간내 1만불)
환전가능 통화 21개 18개 20개
환율우대 USD 90%,
JPY, EUR 80% 등
USD, JPY, EUR 90% 등 USD 90%,
JPY, EUR 80% 등

 

 

1. 우리은행 '환전 주머니'

 

 

온라인으로 미리 환전해두고 필요할 때 찾아쓰는 서비스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고, 신청은 24시간 가능하다. 다만 1일 환전한도는 영업시간 내 5천불, 영업시간 외 2천불이다.(USD 기준이며, USD의 경우 영업시간 내라면 1만불까지 가능하다.) 최대 보관한도는 USD기준 1만불이다. 

 

외화수령 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며, USD, JPY, EUR을 제외한 통화는 일부 영업점으로 제한될 수 있다.

 

환전 후 취소는 불가능하지만 수령하지 않은 금액의 경우 원화로 재환전하거나, 외화계좌로 입금할 수 있다. 외화계좌로 입금할 경우 USD를 제외한 외화는 별도의 외화현찰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다. USD의 경우 수수료가 부과되지 않지만 입금 후 7일이내 외화현찰 이외의 수단으로 인출 시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다. 

 

ex) 10,000엔 환전 시

 

 

 

2. 신한은행 '환전 모바일금고'

 

미리 구입해두고 필요할 때 찾아쓰는 환율변동 대비형 외화금고다. 총 18종 통화를 이용가능하며, 1일 최대 2천불까지 환전할 수 있고 최대 보관 한도는 1만불이다. 

 

 

 

환전한 후에는 취소할 수 없지만 원화로 재환전은 가능한데, 환전신청일 다음날부터 가능하다. 금고에 입금한 금액은 입금 거래 건별로 출고 가능하며, 합계 금액 중 일부 금액만 출고할 수는 없다. 

 

ex) 10,000엔 환전 시

 

 

 

3. KB국민은행 '외화머니박스'

 

 

KB어플, 홈페이지 등 비대면 채널을 통해 환율이 낮을 때 환전해서 보관해두었다가 필요할 때 찾아서 쓰는 서비스다. 연간 환전 가능한도는 30만 달러이지만 보관할 수 있는 한도는 1만 달러다. 1일 환전 가능 금액은 5천불이며, USD의 경우 영업시간 내라면 1만불까지 가능하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국민만 가능하고, 외국인과 재외동포는 거래불가다. 

 

 

완료된 환전거래는 취소할 수 없지만 보관한도가 다 찬 경우 1)수령하거나 2)외화 입출금걔좌로 입금하거나 3)원화로 되팔기가 가능하다.

*USD 이외의 통화를 입출금계좌로 입금 후 현금 수령할 경우 수수료가 발생한다.

*되팔기할 경우 파는 시점의 환율이 적용되지만, 환율우대는 최초 환전신청 시 적용받은 우대율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ex) 10,000엔 환전 시

 

(12월 30일까지 이벤트 진행 중이라 99% 우대율이 적용되는 점 참고)

 

 


 

은행 3곳에서 제공하는 환전 보관 서비스를 알아보았다. 대체적으로 환율우대는 80% 이상 제공하고 있기때문에 환전 금액이 크게 차이나지는 않는다. 1일 환전 한도는 신한은행이 최대 2천불로 가장 적고, KB가 최대 1만불(USD경우)로 가장 크다. 하지만 최대 보관 한도가 1만불이기때문에 한 번에 환전할게 아니라면 이 또한 크게 의미는 없다. 

 

본인이 사용하는 주거래은행의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사용성이 좋다고 느껴지는 곳을 골라서 이용하면 될 것 같다. 

 

 

+) 요즘 하나은행의 '트래블로그 체크카드'라는게 핫한거 같은데 나는 하나은행 계좌가 없고, 타은행 계좌로 가입하기를 시도해도 계속 업무상 오류라면서 진행이 안 되길래 그냥 포기했다.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이용해봐야겠다.